게임학원, 게임프로그래머 취업 전문 교육기관 DirectX11/12 자체엔진 게임개발과정,서버프로그래밍,자료구조,알고리즘,유니티,언리얼 게임학원, 언리얼학원 직선의 방적식과 내적의 관계
본문 바로가기

직선의 방적식과 내적의 관계

1.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은 1차함수와 그 모양이 같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는 


 로 직선의 방정식을 표현할 경우 여기서 는 기울기를 뜻합니다.


에 곱해지는 계수이기 때문에, 의 증가 비율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는 y 절편을 뜻합니다. 가 0 일 때 가되기 때문이죠.


2.  두 직선의 관계


직교하는 두 직선을 위 그림처럼 나타냈을 때


 의 좌표는 , 의 좌표는 이고 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서


 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수식을 풀어서 정리해 보면



 =


            ........=




두 직선이 서로 직교 할 때 두 직선의 기울기를 곱하게 되면 항상 -1 이 나오게 됩니다.

  

직선을 로 표현했을 때, 에는 특별한 성질이 있습니다.

만약 방향으로 원점에서 출발하는 직선을 가정한다면 그 기울기는 입니다.

우리는 원래의 직선 를  로 식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방향으로 원점에서 출발하는 직선의 기울기와 본래 직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 됩니다.


즉 직선을 로 표현했을 때, 는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벡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점과 직선사이의 최단거리


직선의 방정식  에서  는 직선에 수직인 방향의 벡터임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직선 위의 한 점  와 점  을 끝점으로 하는 벡터  을 생각하면 


 와  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 =


우리가 원하는 건 최단거리이기 때문에 직선으로 수직으로 향하는 를 사용했습니다.


내적공식을 이용해서 좌변을 정리하면


    이며 우리는 임을 알고 있기 때문에


   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 변의 벡터를 방향으로 정사영한 길이,


즉 최단거리이기 때문에 만 없다면 우리는 최단거리를 구한 것입니다.


 =   ( 길이를 구하고 있기 때문에 부호는 의미가 없다. 절대값으로 봄)


 =



위의 결과를 3차원 공간에 존재하는 평면  과 점  으로 확장해도


마찬가지로 쉽게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평면의 방정식을 공부할 때 다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원점에서 직선까지의 거리


우리는 직선 외부의 임의의 점 에서 직선으로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공식을 내적의 관점으로


구하여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원점에서 직선으로의 최단거리 란, 임의의점 으로 고정되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즉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5.  내적을 이용한 점과 직선의 관계


             그래프 예시


직선을 라고 표현 했을 때, 우리는 가 직선에 수직한 벡터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약 가 단위벡터였다면, 우리는 4.에서 유도한 공식으로 인해 원점에서 직선까지의 최단거리가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는 내적 한 결과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 현재 단위벡터라는 가정


이기 때문에 결과 값이 최단거리이며 이 크기는 입니다.


즉, 직선위에 있지 않은 임의의 외부의 점 P 에 대해서


       = --> 가 직선위의 점이다.

         --> 가 직선으로 분할된 영역 중, 양의 방향의 공간에 있다.

         --> 가 직선으로 분할된 영역 중, 음의 방향의 공간에 있다.

- by Raimondo...






'정보 & 소식 > 게임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적의 증명  (2) 2016.05.11
코사인 법칙과 내적공식  (0) 2016.04.28
삼각함수의 합차공식  (2) 2016.04.28
삼각함수와 단위원  (0) 2016.04.28
삼각함수의 원리  (0) 201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