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작을 했다고 해서 모두 같은 경험을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겉모습만 흉내 낸 프로젝트도 있고, 내부의 구조와 동작 원리까지 파고들어 만들어낸 결과물도 있죠. 이 차이는 개발자가 어떤 학습 환경에 있었는지 어떤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설계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지곤 합니다. 시작은 간단한 UI나 움직임부터지만 갈수록 카메라 제어, 렌더링 최적화, 충돌 처리 등 복잡한 문제들이 하나둘씩 등장합니다. 그럴 때마다 수강생들은 1:1 피드백과 코드 리뷰, 실시간 디버깅 지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점점 실무형 개발자로 성장해가는데요.
실제로 저희 어소트락 유튜브 채널에는 이 과정을 거친 수강생들의 모작 프로젝트가 꾸준히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그중에서도 특히 구현 완성도와 표현력이 뛰어났던 수강생의 프로젝트를 소개해 보려고 하는데요. 그 속에 담긴 시행착오와 어소트락의 지원 방식까지! 함께 살펴보시죠.😊
어소트락 수강생 모작 살펴보기
(메이플 스토리)
위 영상처럼 어소트락 취업반 수강생들은 잘 알려진 게임을 기반으로 모작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단순 복제가 아닌 DirectX11과 WinAPI 기술을 활용해 렌더링 구조와 시스템 구성까지 직접 구현해보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단지 멋진 결과물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전형 포트폴리오로도 높은 완성도를 갖추게 되는데요. 다만 수강생들은 처음에 화면에 무언가를 띄우는 작업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렌더링 파이프라인, 버텍스 버퍼, 상수 버퍼, 스왑체인 등 낯선 용어와 복잡한 구조에 부딪히며 난이도를 체감하게 됩니다. 특히 자체 게임엔진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많죠. 어소트락 게임 아카데미는 이러한 어려움을 실습 중심 커리큘럼으로 체계적으로 해소하며, 수강생들이 직접 구현을 통해 구조를 이해하고 실력을 완성해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취업반 수업에서는 수강생 각자가 게임의 구조를 설계하고 기술 흐름을 스스로 조립해보는 경험을 쌓게 되는데요.결과적으로 게임회사에서 신뢰받는 실전형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는 데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수강생들이 자주 겪는 어려움은?
1. 정점 버퍼(Vertex Buffer)와 셰이더 연동 실수
정점 구조체를 만들고, D3D11_INPUT_ELEMENT_DESC 배열을 설정할 때 셰이더와의 세맨틱 이름(POSITION, TEXCOORD 등)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무런 오류 메시지도 없이 화면이 까맣게 출력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오류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원인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어소트락에서는? 초기 셋업 단계에서부터 HLSL과 구조체 연결 방식을 반복적으로 실습하고, 자주 실수하는 부분은 디버깅 방법까지 함께 설명합니다. 실시간 맞춤 피드백 수업을 통해 ‘검은 화면’의 원인이 되는 부분을 직접 고쳐보며, 셰이더 연동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2. 상수 버퍼(Constant Buffer) 동기화 오류
또한 매 프레임마다 UpdateSubresource를 통해 상수 버퍼를 업데이트할 때, 자칫하면 CPU와 GPU 간 동기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카메라 좌표나 월드 행렬이 깜빡이거나, 오브젝트의 위치가 엉뚱하게 출력되는 문제가 생기곤 하죠. 🧐어소트락에서는? 초기부터 프레임 단위 업데이트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해 설명하며, CPU와 GPU의 동기화 타이밍 문제를 실습을 통해 반복 확인합니다. 수업 중 실시간 디버깅을 통해 이슈를 직접 찾아내고 해결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수강생들은 렌더링 흐름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3. Depth-Stencil 설정 실수
뎁스 테스트를 위해 DepthStencilState를 설정하거나 뎁스 버퍼를 초기화하지 않으면, 물체가 아예 보이지 않거나 뒤에 있어야 할 오브젝트가 앞에 보이는 등 비정상적인 렌더링 결과가 발생합니다. 특히 초심자일수록 원인을 찾기 어려워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됩니다.
🧐어소트락에서는? 이러한 시각적 오류를 초반 예제에서 의도적으로 발생시켜 원인과 해결 과정을 직접 경험해보도록 학습하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수강생들은 같은 실수를 다시 반복하지 않고 Depth/Stencil 시스템의 원리와 설정 순서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기초부터 팀 프로젝트까지
수강생이 겪는 진짜 성장 과정
앞서 살펴본 것처럼,게임개발의 구조적 설계는 혼자서도 충분히 어려운 도전입니다. 하지만 실제 게임 현업에서는 대부분의 개발이 여러 명이 함께 설계하고 구현하는 팀 기반 협업으로 이루어지죠.이 때문에 어소트락 게임아카데미에서는 개별 구현을 통한 학습 이후에도 실제 현장과 유사한 팀 프로젝트 과정까지 이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강생들은 하나의 게임을 함께 기획하고 역할을 분담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며, 각자의 코드를 연결해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데요. 단순히 기술을 익히는 것을 넘어 협업 과정 속에서 문제 해결력과 커뮤니케이션 스킬까지 함께 성장하게 되는 것이죠.
▼아래 영상은 어소트락 취업반 수강생들이
직접 팀을 이뤄 완성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지금까지 배운 기술들이 실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현재 어소트락 게임아카데미 유튜브 채널에는
실제 수강생들의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업로드 되어있습니다.
저희 어소트락 취업반의 커리큘럼은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게임 개발 흐름을 처음부터 끝까지 스스로 설계하고 구현해보는 실전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정해진 틀을 따라가는 방식이 아닌 개발 흐름을 스스로 설계하고 완성해보는 경험을 통해 수강생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실무에서 바로 통하는 진짜 실력을 쌓아가게 되는 것이죠.
여러분도 게임 개발자로서의 실전 감각과 협업 능력을 함께 키우고 싶다면 지금 어소트락 취업반에서 그 첫걸음을 내디뎌보시기 바랍니다. 게임회사 취업을 위한 역량, 어소트락 게임아카데미가 가장 현실적으로 여러분의 실력을성장시켜드립니다. 실무 흐름을 직접 경험하며 배우는 과정 속에서 진짜 개발자로서의 기반을 탄탄히 다져보세요!